페이징(paging)

컴퓨터가 메인 메모리에서 사용하기 위해 2차 기억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메모리 관리 기법이다. 즉, 가상기억장치를 모두 같은 크기의 블록으로 편성하여 운용하는 기법이다. 이때의 일정한 크기를 가진 블록을 페이지(page)라고 한다. 주소공간을 페이지 단위로 나누고 실제기억공간은 페이지 크기와 같은 프레임으로 나누어 사용한다.

 

리눅스

파티션 나누기 -> 포멧 -> 마운트


IRQ

CPU가 어떤 일을 처리해 주기를 바란다면 H/W 장치는 CPU에게 어떤 요청을 해야한다. 이 때 CPU는 그 요구를 받으면 하던 작업을 중단하고 요청한 작업을 우선적으로 처리해 주는데 이 중단을 IRQ라고 한다. 16개의 IRQ 라인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목록인데 반드시 알아두어야 한다.IRQ는 하드웨어 장치나 S/W가 CPU에 신호를 보내는 방식으로 통신하면서 시작된다. 그러나 또 다른 통신방식인 폴링이라는 것이 있다. 폴링은 S/W가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H/W의 요구가 있는지 점검하여 CPU에게 주기적으로 보고 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I/O 주소

H/W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하드웨어 리소스. 때때로 포트 또는 포트 주소라고도 불리기도 하는 I/O 주소는 CPU가 하드웨어를 액세스 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소이다. 물리적 메모리에 액세스 하기 위한 메모리 주소가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다. 메인보드 상에 이 주소 버스는 때때로 I/O 주소나 메모리 주소를 전송하기도 한다.

 

메모리 주소

운영체제는 1차원의 스프레드시트와 비슷하게 생긴, 명령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긴 셀의 목록으로 메모리와 관계가 있다. 각각 메모리 위치(셀)은 0부터 시작하여 번호를 할당받는다. 이 번호들은 OS가 처음 시작할 때 만들어 져서 할당되는데 이것을 메모리 주소라고 한다. 이 주소들은 종종 세그먼트: 오프셋 형태인 16진수로 화면에 나타난다.

 

DMA 채널

h/w와 s/w를 사용하기 위한 또 다른 하드웨어 리소스. I/O 장치가 CPU에 통제없이 메모리에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메인보드의 칩이 DMA 논리를 가지고 있고 프로세스를 관리한다. 초기에는 0 1 2 3 의 4개의 채널을 가지고 있었으나 현재는 5 6 7 이 추가되었고 4번 DMA는 IRQ2가 상위 IRQ에 연결하는데 사용되어진다


Windows 11 가상화 실습

다운로드

1. 가상 윈도우 11

2. Hyper visor - virtual box

- 하이퍼바이저 위에 가상머신 존재


가상화 3가지

- 서버 가상화 (데스크탑 가상화)
- 네트워크 가상화
- 스토리지 가상화

 

다운로드 후 윈도우 11 가상머신 생성

- 운영체제 windows11 Pro 사용

- window11이 실행 안되는 경우 (Windows 11 설치 제한 우회)

1. "지금 설치"버튼의 인터페이스에서 shift+F10을 눌러 cmd 창을 띄운다.

2. regedit를 입력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연다.

3. 컴퓨터\HKEY_LOCAL_MACHINE\SYSTEM\setup 경로를 찾아가 새로만들기 클릭

4. lobConfig키 생성 후 DWORD(32비트)를 눌러 BypassTPMCheck와 BypassSecureBootCheck 이름으로 생성 후 값을 1로 설정

5. 종료 후 진행

 

스냅샷

과거 내용을 복원할 수 있다

 

728x90

'클라우드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2 - 네트워크 : 용어정리2  (0) 2022.05.19
No.1 - 네트워크 : 용어정리1  (0) 2022.05.18

프로토콜

컴퓨터들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지키기로 약속한 규약. 프로토콜에는 신호 처리법, 오류처리, 암호, 인증, 주소 등을 포함한다.

 

-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ASCII code

ASCII는 컴퓨터와 통신 장비를 비롯한 문자를 사용하는 많은 장치에서 사용되며, 대부분의 문자 인코딩이 ASCII에 기초를 두고 있다.


- 시스템

입력, 출력, 처리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

 

- NIC (network interface controller)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 네트워크 카드, 랜 카드, 물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라고 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네트워크 어댑터, 네트워크 카드, 이더넷 카드 등으로도 부른다.
OSI 계층 1(물리 계층)과 계층 2(데이터 링크 계층) 장치를 가지는데, MAC 주소를 사용하여 낮은 수준의 주소 할당 시스템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매개체로 물리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들이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무선으로 연결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 주기억장치

 컴퓨터에서 수치·명령·자료 등을 기억하는 컴퓨터 하드웨어 장치를 가리킨다. 이 용어는 1차 기억 장치와 동의어이다. 컴퓨터 메모리는 예를 들어 램(RAM)처럼 빠른 속도로 동작하는데, 이는 높은 용량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억 공간을 제공하는 기억 장치와는 구별한다. 필요한 경우, 컴퓨터 메모리의 내용은 보조기억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데 이는 가상 메모리라 불리는 메모리 관리 기법을 통해 가능하다. 메모리의 고전적인 동의어 표현은 스토어(store)이다.

  • ROM(비휘발성) : Read Only Memory 읽기 전용
  • RAM(휘발성) : Random Access Memory 읽기 쓰기 수정 가능

- 보조기억장치

하드디스크, SSD

페이징이 많으면 느리다.

 

- 휘발성 메모리

지속적인 전력 공급을 요구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와는 달리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전기를 요구하는 컴퓨터 메모리를 가리킨다. 임시 메모리라고도 한다.
동적 램(DRAM), 정적 램(SRAM)을 포함하여 일반 목적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의 대부분은 휘발성이다

 

- 비휘발성 메모리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컴퓨터 메모리이다. 비휘발성 메모리의 종류에는, 롬, 플래시 메모리,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디스켓 드라이브, 마그네틱 테이프), 광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있으며, 초창기 컴퓨터 저장 장치였던 천공 카드, 페이퍼 테이프 같은 것도 있다.

 

- 주입력장치 : 키보드

- 보조입력장치 : 마우스

- 주출력장치 : 모니터

- 보조출력장치 : 스피커, 프린터


- ROM BIOS

  • System BIOS
  • Startup BIOS
  • CMOS setup

운영체제

POST : power on self test

- 쉘 : 사용자의 응용프로그램과 커널 사이에 위치해있으며 응용프로그램의 명령어와 커널이 대화를 하도록 만들어준다. 명령어 해석기라고도 불린다.

- 커널 : 운영체제와 하드웨어를 통신시키는 역할

 

파일시스템

- 윈도우 : NTFS

- 리눅스 : ext4, XFS

 

하드디스크

- 트랙 : 섹터의 한바퀴 단위

- 섹터 : 디스크에서 사용하는 최소 단위

- 클러스터 : 섹터를 여러개 묶어서 하나의 단위로 만듦 4k~8k를 하나로 묶어 클러스터로 활용
- 플레터

- 실린더

728x90

'클라우드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3 - 네트워크 : 가상화  (0) 2022.05.20
No.1 - 네트워크 : 용어정리1  (0) 2022.05.18

가상화

컴퓨터에서 컴퓨터 리소스의 추상화를 일컫는 광범위한 용어이다. "물리적인 컴퓨터 리소스의 특징을 다른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최종 사용자들이 리소스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으로부터 감추는 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특성
- 연결성
- 규칙성
- 통신성



LAN(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영역 네트워크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컴퓨터의 네트워크를 말하며, 유선 케이블, 적외선 링크, 무선 송수신기 등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더 쉽게 설명을 하면 관리자가 직접 관리가 가능한 영역을 LAN 영역이라 한다. 보통 가정이나 학교에서 볼 수 있는 형태이다


WAN(Wide Area Network) : 광대역 네트워크

두 개 이상의 LAN 영역을 연결한 영역. LAN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멀리 떨어진 컴퓨터 사이에서도 WAN을 통하여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여기서 등장하는 M은 도시를 의미하는 Metropolitan의 약자이다. 여기서 범위는 LAN보다 넓고 50km 거리 내에서 이용할 수 있다. 큰 학교나 건물, 쇼핑센터같은 곳을 예로 들 수 있다.


PAN(Personal Area Network) : 개인 영역 네트워크

Personal에서 알 수 있듯 블루투스나 UWB 등의 기술을 이용해서 개인 휴대기기 사이에서 구성된 무선 연결망을 의미한다. 그 외에도 MAN과 인트라넷의 개념이 있다.


VAN

VAN은 고대역폭의 접속을 통하여 사용자들이 커뮤니티에 대해 좀 더 가시적인 느낌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네트워크

 

인트라넷(Intranet)

인터넷에 사용하는 회선 및 기술을 이용하여 구축한 사설 네트워크. 흔히 군대에서 이용하는 외부 사이트에 접속 제한이 걸려있는 인터넷을 인트라넷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ISP까지 연결이 되면 적은 비용으로 사설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모뎀

정보 전달(주로 디지털 정보)을 위해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원래의 신호로 복구하기 위해 복조하는 장치를 말한다.


제공자(서버) <-> 요청자(클라이언트)


ISP

개인이나 기업체에게 인터넷 접속 서비스, 웹사이트 구축 및 웹호스팅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회사를 말한다.

 

사용자 명령어를 컴퓨터에게 전달해 처리 담당

셸은 운영 체제 상에서 다양한 운영 체제 기능과 서비스를 구현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인터페이스 (Interface)

서로다른 두 사물사이에 연결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주는 것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이다.

1) www.naver.com 

2) kyudon.tistory.com

- www, kyudon : 호스트

- naver.com, tistory.com : 도메인

 

- FQDN (Fully Qualified Domain Name)

호스트와 도메인을 함께 명시하여 전체 경로를 모두 표기하는 것 

- PQDN (Partially Qualified Domain Name)

FQDN와 달리 전체 경로명이 아닌 하위 일부 경로만으로 식별 가능하게 하는 것

- DNS (Domain Name System)

FQDN을 IPaddress로 바꿔주는 것


- 라우터

라우터는 컴퓨터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다.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며, 이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달한다.

 

- 스위치

네트워킹 장치이기도하며 여러 장치를 연결합니다. 스위치는 여러 장치를 연결하여 근거리 통신망을 만듭니다. 

728x90

'클라우드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3 - 네트워크 : 가상화  (0) 2022.05.20
No.2 - 네트워크 : 용어정리2  (0) 2022.05.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