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콜

컴퓨터들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지키기로 약속한 규약. 프로토콜에는 신호 처리법, 오류처리, 암호, 인증, 주소 등을 포함한다.

 

-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ASCII code

ASCII는 컴퓨터와 통신 장비를 비롯한 문자를 사용하는 많은 장치에서 사용되며, 대부분의 문자 인코딩이 ASCII에 기초를 두고 있다.


- 시스템

입력, 출력, 처리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

 

- NIC (network interface controller)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 네트워크 카드, 랜 카드, 물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라고 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네트워크 어댑터, 네트워크 카드, 이더넷 카드 등으로도 부른다.
OSI 계층 1(물리 계층)과 계층 2(데이터 링크 계층) 장치를 가지는데, MAC 주소를 사용하여 낮은 수준의 주소 할당 시스템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매개체로 물리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들이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무선으로 연결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 주기억장치

 컴퓨터에서 수치·명령·자료 등을 기억하는 컴퓨터 하드웨어 장치를 가리킨다. 이 용어는 1차 기억 장치와 동의어이다. 컴퓨터 메모리는 예를 들어 램(RAM)처럼 빠른 속도로 동작하는데, 이는 높은 용량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 기억 공간을 제공하는 기억 장치와는 구별한다. 필요한 경우, 컴퓨터 메모리의 내용은 보조기억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데 이는 가상 메모리라 불리는 메모리 관리 기법을 통해 가능하다. 메모리의 고전적인 동의어 표현은 스토어(store)이다.

  • ROM(비휘발성) : Read Only Memory 읽기 전용
  • RAM(휘발성) : Random Access Memory 읽기 쓰기 수정 가능

- 보조기억장치

하드디스크, SSD

페이징이 많으면 느리다.

 

- 휘발성 메모리

지속적인 전력 공급을 요구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와는 달리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전기를 요구하는 컴퓨터 메모리를 가리킨다. 임시 메모리라고도 한다.
동적 램(DRAM), 정적 램(SRAM)을 포함하여 일반 목적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의 대부분은 휘발성이다

 

- 비휘발성 메모리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컴퓨터 메모리이다. 비휘발성 메모리의 종류에는, 롬, 플래시 메모리,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디스켓 드라이브, 마그네틱 테이프), 광디스크 드라이브 등이 있으며, 초창기 컴퓨터 저장 장치였던 천공 카드, 페이퍼 테이프 같은 것도 있다.

 

- 주입력장치 : 키보드

- 보조입력장치 : 마우스

- 주출력장치 : 모니터

- 보조출력장치 : 스피커, 프린터


- ROM BIOS

  • System BIOS
  • Startup BIOS
  • CMOS setup

운영체제

POST : power on self test

- 쉘 : 사용자의 응용프로그램과 커널 사이에 위치해있으며 응용프로그램의 명령어와 커널이 대화를 하도록 만들어준다. 명령어 해석기라고도 불린다.

- 커널 : 운영체제와 하드웨어를 통신시키는 역할

 

파일시스템

- 윈도우 : NTFS

- 리눅스 : ext4, XFS

 

하드디스크

- 트랙 : 섹터의 한바퀴 단위

- 섹터 : 디스크에서 사용하는 최소 단위

- 클러스터 : 섹터를 여러개 묶어서 하나의 단위로 만듦 4k~8k를 하나로 묶어 클러스터로 활용
- 플레터

- 실린더

728x90

'클라우드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3 - 네트워크 : 가상화  (0) 2022.05.20
No.1 - 네트워크 : 용어정리1  (0) 2022.05.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