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or 문 (반복문)
# 특정 코드를 반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어문
# for 문장은 일정 횟수 또는 한정된 범위안에서 특정 코드를 반복하기 위해 사용
# 사용 방법(Syntax)
# for 변수명 in range(반복횟수):
# 반복 실행 코드 1
# 반복 실행 코드 2
# range(인자1) 인자1은 반복횟수 지정
# range(인자1, 인자2) 인자1은 초기값, 인자2는 종료값
# range(인자1, 인자2, 인자3) 인자1은 초기값, 인자2는 종료값, 인자3은 증감값
# for ... else
# 중첩 for
# break, continue
# range
# for x in range(5):
# print('반복 실행 코드 {}'.format(x))
# for x in range(1, 5):
# print('반복 실행 코드 {}'.format(x))
# for x in range(1, 5, 2):
# print('반복 실행 코드 {}'.format(x))
# for x in range(5, 1, -1):
# print('반복 실행 코드 {}'.format(x))
# for x in (1, 2, 3, 4, 5):
# print('반복 실행 코드 {}'.format(x))
# s = 'abcdefg'
# for x in s:
# print('반복 실행 코드 {}'.format(x))
In [ ]:
for x in range(5):
print('반복 실행 코드 {}'.format(x))
반복 실행 코드 0
반복 실행 코드 1
반복 실행 코드 2
반복 실행 코드 3
반복 실행 코드 4
In [ ]:
for x in range(1, 5):
print('반복 실행 코드 {}'.format(x))
반복 실행 코드 1
반복 실행 코드 2
반복 실행 코드 3
반복 실행 코드 4
In [ ]:
for x in range(1, 5, 2):
print('반복 실행 코드 {}'.format(x))
반복 실행 코드 1
반복 실행 코드 3
In [ ]:
for x in range(5, 1, -1):
print('반복 실행 코드 {}'.format(x))
반복 실행 코드 5
반복 실행 코드 4
반복 실행 코드 3
반복 실행 코드 2
In [ ]:
for x in (1, 2, 3, 4, 5):
print('반복 실행 코드 {}'.format(x))
반복 실행 코드 1
반복 실행 코드 2
반복 실행 코드 3
반복 실행 코드 4
반복 실행 코드 5
In [ ]:
s = 'abcdefg'
for x in s:
print('반복 실행 코드 {}'.format(x))
반복 실행 코드 a
반복 실행 코드 b
반복 실행 코드 c
반복 실행 코드 d
반복 실행 코드 e
반복 실행 코드 f
반복 실행 코드 g
In [ ]:
# 0 ~ 99 까지 반복문을 사용하여 출력 하시오.
for x in range(0, 100):
print(x,end=' ')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In [ ]:
# 50 ~ 99 까지 반복문을 사용하여 출력 하시오.
for x in range(50, 100):
print(x,end='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In [ ]:
# 0 ~ 99 까지 짝수 값만 출력 하시오.
for x in range(0, 100):
if x % 2 == 0:
print(x,end=' ')
0 2 4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42 44 46 48 50 52 54 56 58 60 62 64 66 68 70 72 74 76 78 80 82 84 86 88 90 92 94 96 98
In [ ]:
# 0 ~ 99 까지 짝수 값만 출력 하시오.
for x in range(0, 100):
if not x % 2:
print(x,end=' ')
0 2 4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42 44 46 48 50 52 54 56 58 60 62 64 66 68 70 72 74 76 78 80 82 84 86 88 90 92 94 96 98
In [ ]:
# 0 ~ 99 까지 짝수 값만 출력 하시오.
for x in range(0, 100 , 2):
print(x,end=' ')
0 2 4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42 44 46 48 50 52 54 56 58 60 62 64 66 68 70 72 74 76 78 80 82 84 86 88 90 92 94 96 98
In [ ]:
# 0 ~ 99 까지 홀수 값만 출력 하시오.(단, 99 부터 역순으로 출력)
for x in range(99,0,-1):
if x % 2 == 1:
print(x,end=' ')
99 97 95 93 91 89 87 85 83 81 79 77 75 73 71 69 67 65 63 61 59 57 55 53 51 49 47 45 43 41 39 37 35 33 31 29 27 25 23 21 19 17 15 13 11 9 7 5 3 1
In [ ]:
# 0 ~ 99 까지 홀수 값만 출력 하시오.(단, 99 부터 역순으로 출력)
for x in range(99,0,-2):
print(x,end=' ')
99 97 95 93 91 89 87 85 83 81 79 77 75 73 71 69 67 65 63 61 59 57 55 53 51 49 47 45 43 41 39 37 35 33 31 29 27 25 23 21 19 17 15 13 11 9 7 5 3 1
In [ ]:
# 0 ~ 99 까지 홀수 값만 출력 하시오.(단, 99 부터 역순으로 출력)
for x in range(99,0,-1):
if x % 2:
print(x,end=' ')
99 97 95 93 91 89 87 85 83 81 79 77 75 73 71 69 67 65 63 61 59 57 55 53 51 49 47 45 43 41 39 37 35 33 31 29 27 25 23 21 19 17 15 13 11 9 7 5 3 1
In [ ]:
# 0 ~ 99 까지 임의 값 5개의 총 합을 구하시오.
from random import sample
tot = 0
for x in sample(range(0,100),5):
print(x,end=' ')
tot = tot + x
print(f'합은 {tot}')
71 53 91 50 60 합은 325
In [ ]:
# 0 ~ 100 까지 임의 값 5개의 총 합을 구하시오.
from random import sample
tot = 0
for x in sample(range(0,101),5):
print(x,end=' ')
tot = tot + x
print(f'합은 {tot}')
5 58 76 87 21 합은 247
In [ ]:
# 다음의 문자열에서 공백을 제외한 문자의 갯수를 구하시오.
# Python Programming Code
sentence = 'Python Programming Code'
total = 0
for x in sentence:
if x != ' ':
total += 1
print(total)
21
In [ ]:
# 다음의 문자열에서 영문자 대문자에 해당하는 문자의 갯수를 구하시오.
# Python Programming Code
sentence = 'Python Programming Code'
total = 0
for x in sentence:
if 65 <= ord(x) <= 90:
total = total + 1
print('영문자 대문자 수 : {}'.format(total))
영문자 대문자 수 : 3
In [ ]:
# 다음의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반복문을 활용 하시오.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for x in range(1, 32):
if not x % 7:
print('{:<4}'.format(x), end='\n')
else:
print('{:<4}'.format(x), en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In [ ]:
# 다음의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반복문을 활용 하시오.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for x in range(97, 123):
if x % 8 == 0:
print('{:<4}'.format(chr(x)))
else:
print('{:<4}'.format(chr(x)), end='')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In [ ]:
# 다음의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반복문을 활용 하시오.
'''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1A 1B 1C 1D 1E
1F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2A 2B 2C 2D 2E 2F
'''
for x in range(1, 48):
if x % 10 == 0:
print('{:<4X}'.format(x))
else:
print('{:<4X}'.format(x), end='')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1A 1B 1C 1D 1E
1F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2A 2B 2C 2D 2E 2F
In [ ]:
# A 학급에 총 10명의 학생이 있다.
# 이 학생들의 중간고사 점수는 다음과 같다.
# [70, 60, 55, 75, 95, 90, 80, 80, 85, 100]
# for문을 사용하여 A 학급의 평균 점수를 구해 보자.
midterm_score = [70, 60, 55, 75, 95, 90, 80, 80, 85, 100]
i = 0
total = 0
for i in [70, 60, 55, 75, 95, 90, 80, 80, 85, 100]:
total = total + i
average = total / len(midterm_score)
print(f'평균점수는 {average}')
평균점수는 79.0
In [ ]:
# 0~100 중에서 짝수에만 3을 곱하여 담고 싶다면
# 다음과 같이 리스트 내포 안에 "if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result = [num * 3 for num in range(0,101) if num % 2 == 0]
print(result)
# for num in range(0,101):
# if num % 2 == 0:
# print(num * 3,end=' ')
[0, 6, 12, 18, 24, 30, 36, 42, 48, 54, 60, 66, 72, 78, 84, 90, 96, 102, 108, 114, 120, 126, 132, 138, 144, 150, 156, 162, 168, 174, 180, 186, 192, 198, 204, 210, 216, 222, 228, 234, 240, 246, 252, 258, 264, 270, 276, 282, 288, 294, 300]
In [ ]:
# 60점 이상이면 합격 이라는 문장을 출력
# range 함수를 사용해서 바꿀 수 있다.
# marks = [90, 25, 67, 45, 80]
# marks = [90, 25, 67, 45, 80]
# for x in marks:
# if x > 60:
# print(f'{x}는 합격입니다.')
marks = [90, 25, 67, 45, 80]
for number in range(len(marks)):
# for number in range(5):
if marks[number] < 60:
continue
print("%d번 학생 축하합니다. 합격입니다." % (number+1))
1번 학생 축하합니다. 합격입니다.
3번 학생 축하합니다. 합격입니다.
5번 학생 축하합니다. 합격입니다.
In [ ]:
# continue를 사용해서 1~100까지의 홀수 출력하기
# for x in range(1,101,2):
# print(x,end=' ')
for x in range(101):
if not x % 2:
continue
print(x,end=' ')
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33 35 37 39 41 43 45 47 49 51 53 55 57 59 61 63 65 67 69 71 73 75 77 79 81 83 85 87 89 91 93 95 97 99
In [ ]:
# continue를 사용해서 1~100까지의 짝수 출력하기
for x in range(101):
if x % 2:
continue
else:
print(x,end=' ')
0 2 4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42 44 46 48 50 52 54 56 58 60 62 64 66 68 70 72 74 76 78 80 82 84 86 88 90 92 94 96 98 100
In [ ]:
# 구구단 출력하기
for i in range(2,10):
print(end='\n')
print("****",i,"단****")
for j in range(1,10):
print("{} * {} = {}".format(i,j,i*j),end="\n")
**** 2 단****
2 * 1 = 2
2 * 2 = 4
2 * 3 = 6
2 * 4 = 8
2 * 5 = 10
2 * 6 = 12
2 * 7 = 14
2 * 8 = 16
2 * 9 = 18
**** 3 단****
3 * 1 = 3
3 * 2 = 6
3 * 3 = 9
3 * 4 = 12
3 * 5 = 15
3 * 6 = 18
3 * 7 = 21
3 * 8 = 24
3 * 9 = 27
**** 4 단****
4 * 1 = 4
4 * 2 = 8
4 * 3 = 12
4 * 4 = 16
4 * 5 = 20
4 * 6 = 24
4 * 7 = 28
4 * 8 = 32
4 * 9 = 36
**** 5 단****
5 * 1 = 5
5 * 2 = 10
5 * 3 = 15
5 * 4 = 20
5 * 5 = 25
5 * 6 = 30
5 * 7 = 35
5 * 8 = 40
5 * 9 = 45
**** 6 단****
6 * 1 = 6
6 * 2 = 12
6 * 3 = 18
6 * 4 = 24
6 * 5 = 30
6 * 6 = 36
6 * 7 = 42
6 * 8 = 48
6 * 9 = 54
**** 7 단****
7 * 1 = 7
7 * 2 = 14
7 * 3 = 21
7 * 4 = 28
7 * 5 = 35
7 * 6 = 42
7 * 7 = 49
7 * 8 = 56
7 * 9 = 63
**** 8 단****
8 * 1 = 8
8 * 2 = 16
8 * 3 = 24
8 * 4 = 32
8 * 5 = 40
8 * 6 = 48
8 * 7 = 56
8 * 8 = 64
8 * 9 = 72
**** 9 단****
9 * 1 = 9
9 * 2 = 18
9 * 3 = 27
9 * 4 = 36
9 * 5 = 45
9 * 6 = 54
9 * 7 = 63
9 * 8 = 72
9 * 9 = 81
In [ ]:
# 다음과 같이 출력되도록 이중 for문을 활용하여 코드 하세요.
# 2 3 4 5 6
# 3 4 5 6 7
# 4 5 6 7 8
# 5 6 7 8 9
# 6 7 8 9 10
for i in range(1,6): # 1,2,3,4,5
for j in range(1,6):
print(j+i,end=" ")
print()
print('============')
for i in range(5): # 0,1,2,3,4
for j in range(2,7):
print(j+i,end=" ")
print()
2 3 4 5 6
3 4 5 6 7
4 5 6 7 8
5 6 7 8 9
6 7 8 9 10
============
2 3 4 5 6
3 4 5 6 7
4 5 6 7 8
5 6 7 8 9
6 7 8 9 10
In [ ]:
# 이중 for 구문을 사용하여 아래의 예시대로 출력될 수 있도록 코드하세요.
'''
2 * 1 = 2 2 * 2 = 4 2 * 3 = 6 2 * 4 = 8 2 * 5 = 10
3 * 1 = 3 3 * 2 = 6 3 * 3 = 9 3 * 4 = 12 3 * 5 = 15
4 * 1 = 4 4 * 2 = 8 4 * 3 = 12 4 * 4 = 16 4 * 5 = 20'''
for i in range(2,5):
for j in range(1,6):
print(f"{i} * {j} = {i*j}".rjust(3),end=" ")
print()
2 * 1 = 2 2 * 2 = 4 2 * 3 = 6 2 * 4 = 8 2 * 5 = 10
3 * 1 = 3 3 * 2 = 6 3 * 3 = 9 3 * 4 = 12 3 * 5 = 15
4 * 1 = 4 4 * 2 = 8 4 * 3 = 12 4 * 4 = 16 4 * 5 = 20
In [ ]:
# 만약 주사위를 두 번 던져서 나온 숫자들의 합이 4의 배수가 되는 경우만 구해서
#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
1 3
2 2
2 6
3 1
3 5
4 4
5 3
6 2
6 6 '''
for i in range(1,7):
for j in range(1,7):
if not (i + j) % 4:
print(f"{i} {j}")
1 3
2 2
2 6
3 1
3 5
4 4
5 3
6 2
6 6
# while 반복문
# 조건에 따라서 반복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문장
# 조건이 참이면 반복, 조건이 거짓이면 반복 종료
# 일단 for문과 while문의 차이는 파이썬 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에서도 대부분 같은 원리로
# 구성되어있습니다. while문은 while('조건')의 조건이 참인 동안 반복입니다.
# while문이나 외부 입력으로 조건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만들면 무한루프로 작동하게 되는 겁니다.
# 예를 들어 while(a=4) 라고 해놨는데 반복문 내부의 코드가 a를 4로 만들지 못하면
# 계속 반복되는 형태입니다.
# for 문은 리스트, 튜플, 제너레이터와 같은 iterable 객체에서 순서대로 순서대로
# 각 item을 실행문에서 처리하는 제어문입니다.
# iterable 객체를 순차적으로 동일한 처리하기 원할 때 for문을 사용하시는 것이 편리하고,
# 종료시점을 실행하기 전에 명확히 알기 어렵거나 iterable 객체를 순차적으로
# 처리하는 것이 아닌 경우 while문을 사용하시는 것이 편리합니다.
# 문법
# while 조건식:
# 반복 실행 코드 1
# 반복 실행 코드 2
# while ... else
# 중첩 while
# break, continue
In [ ]:
cnt = 0
while cnt <= 9:
print('while 반복')
cnt = cnt + 1
while 반복
while 반복
while 반복
while 반복
while 반복
while 반복
while 반복
while 반복
while 반복
while 반복
In [ ]:
# 로또 번호 6개 생성 할 때 중복 없이 6개 생성
from random import randint
cnt = 0
lot = ''
while cnt < 6:
rand = randint(1, 45)
if str(rand) not in lot:
lot = lot + '{:02} '.format(rand)
cnt = cnt + 1
print(lot)
40 35 25 11 39 42
In [ ]:
while True: # 무한 반복
userin = input('정수형 데이터 : ')
integer = False
for x in userin:
if x not in '0123456789':
break
else:
userin = int(userin)
integer = True
if not integer:
print('올바른 입력 값이 아닙니다.')
break
정수형 데이터 : 5
정수형 데이터 : 6
정수형 데이터 : 7
정수형 데이터 : 1
정수형 데이터 : 0
정수형 데이터 : 90
정수형 데이터 : 100
정수형 데이터 : x
올바른 입력 값이 아닙니다.
In [ ]:
# 10 ~ 99 까지 반복 출력하는 while 문을 작성하시오.
x = 10
while x < 100:
print(x,end=' ')
x += 1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In [ ]:
# 대문자 A ~ Z, 소문자 a ~ z 까지 반복 출력하는 while 문을 작성하시오.
x = 64
while x < 122:
x = x + 1
if 91 <= x <= 96:
continue
else:
print(chr(x),end='')
ABCDEFGHIJKLMNOPQRSTUVWXYZabcdefghijklmnopqrstuvwxyz
In [ ]:
# 10 ~ 99 까지의 누적 합을 구하는 while 문을 작성 하시오.
x = 10
tot = 0
while x < 100:
tot = tot + x
x = x + 1
print(tot)
4905
In [ ]:
cnt = 0
total = 0
while True:
cnt += 1
total += cnt
if cnt == 100:
break
print(f'1 to 100 as the sum is {total}')
1 to 100 as the sum is 5050
In [ ]:
# 소문자로만 된 8자리 암호 10개 생성
from random import random,sample
R = 1
i = 1
while R <= 10:
for C in sample(range(97,123),8):
if not i % 8 :
print(chr(C),end='\n')
else:
print(chr(C),end='')
i += 1
R += 1
In [ ]:
# 대,소문자 및 숫자를 포함한 비밀번호 16자리 10개 생성하기
# range(65,91) # 대문자
# range(97,123) # 소문자
# range(48,58) # 숫자
from random import random,sample
R,i = 1,1
while R <= 10 :
for C in sample(range(48,123),16):
# for C in range(48,123):
if (57 < C < 65) or (90 < C < 97):
pass
elif not i % 16:
print(chr(C),end='\n')
else:
print(chr(C),end='')
i += 1
R += 1
In [ ]:
# for를 while문으로 변경해 보기
fruitlist = ['Apple','banana','orange','mango','kiwi']
for fruit in fruitlist:
if fruit == 'mango':
print(f'I feel like a {fruit}')
break
print(fruit)
else:
print('Good choice')
fruit = 0
fruitlist = ['Apple','banana','orange','mango','kiwi']
while fruit <= len(fruitlist):
fruit += 1
if fruitlist[fruit] == 'mango':
print(f'I feel like a {fruitlist[fruit]}')
break
print(fruitlist)
else:
print('Good choice')
Apple
banana
orange
I feel like a mango
['Apple', 'banana', 'orange', 'mango', 'kiwi']
['Apple', 'banana', 'orange', 'mango', 'kiwi']
I feel like a mango
In [ ]:
'''
사칙연산 자동 출제 프로그램
프로그램 기본 기능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문제가 임의로 출제가 되도록 한다.
연산을 위한 2개의 값은 기본 1 ~ 99 까지 임의로 생성되도록 한다.
빼기, 나누기 문제의 경우 큰 값에서 작은 값을 빼거나, 나누도록 한다.
나누기 문제의 경우 계산 결과가 소수점 2자리 까지만 나오게 하여 비교한다.
정답을 입력하면, +10점
오답을 입력하면, - 7점
총 점수가 100점 이상이 되는 경우 프로그램 중단
프로그램 추가 기능
연산을 위한 2개의 값의 범위를 사용자가 최소값, 최대값 형태로 변경 가능
목표 점수 설정을 통해서 총 점수가 목표 점수를 넘기면 프로그램 중단.
'''
from random import random
jumsu = 0
while True:
num1 = int(random() * 99) + 1
num2 = int(random() * 99) + 1
op = int(random() * 4)
if op == 0: # 더하기
print(f'{num1} + {num2} = ', end='')
result = num1 + num2
elif op == 1: # 빼기
if num1 < num2:
num1, num2 = num2, num1
print(f'{num1} - {num2} = ', end='')
result = num1 - num2
elif op == 2: # 곱하기
print(f'{num1} * {num2} = ', end='')
result = num1 * num2
elif op == 3: # 나누기
if num1 < num2:
num1, num2 = num2, num1
print(f'{num1} / {num2} = ', end='')
result = num1 // num2
answer = float(input())
if result == answer:
print('정답!!')
jumsu += 10
else:
print('오답!!')
jumsu -= 7
print('현재 점수 : {}\n\n'.format(jumsu))
if jumsu >= 100:
break
In [ ]:
# 중첩 while 또는 어려운 문제
# 시리얼 번호 생성 프로그램
# 1. 시리얼 번호는 대문자 / 숫자로 구성 된다.
# 2. 시리얼 번호 길이는 8, 12, 16, 20, 24 자리중 하나를 선택하여 생성할 수
# 있게 한다.
# 3. 시리얼 번호의 대문자 숫자 생성 비율은 1(숫자):3(대문자)으로 한다.
# 4. 시리얼 번호의 대문자 중복은 1번만 허용 한다.
# 5. 위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리얼 번호는 사용자가 원하는 수량 만큼 생성 한다.
from random import randint
while True:
length = input('시리얼 번호 길이 입력(8, 12, 16, 20, 24) : ')
if length in ('8', '12', '16', '20', '24'):
length = int(length)
break
else:
print('지정된 값만 입력하시오.')
while True:
count = input('시리얼 번호 생성 갯수 : ')
if count.isnumeric():
count = int(count)
break
for x in range(count):
serial = ''
while len(serial) < length:
rate = randint(0, 3) #[0, 1, 2, 3]
if rate == 2:
serial += str(randint(0, 9)) # 숫자
else:
randstr = chr(randint(65, 90)) # 대문자
# 중복은 1번만 허용
cnt = 0
for char in serial:
if randstr == char:
cnt += 1
if cnt == 2:
break
else:
serial += randstr
else:
print(serial)
In [ ]:
# List(리스트) 자료형
# 기호 : []
# 리스트의 특징
# 리스트는 collection의 일종으로 ,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리스트는 대괄호[]로 둘러싸여 있고, 리스트 원소는 콤마 으로 구분됩니다
# 리스트는 파이썬의 어떤 객체도 원소로 넣을 수 있습니다.(다른 컬렉션도 가능)
# 빈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 번호(Index Number)에 의해 접근 가능
# Iterable Type : 반복 가능 자료형으로 for 반복문에 의해 사용 할 수 있는 자료형
# Mutation Type : 변경 가능, 리스트 자료의 요소를 추가/수정/삭제 할 수 있다.
# Collection
# Collection 은 수집, 모음 이라는 뜻입니다. Python에서 Collection은 여러 개의 값들을
# 수집할 수 있는 자료 구조를 말합니다. 리스트, 딕셔너리, 튜플이 collection에 해당합니다.
# 리스트의 내부
# 리스트는 위치가 정해져있고 순서를 가지고 있습니다.
# 우리는 그 순서를 인덱스(index)라고 합니다.
# 인덱스를 이용해 리스트의 원소를 하나하나 가져올 수 있습니다.
#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며, 원소 갯수 만큼 순차적으로 증가합니다.
# 리스트와 문자열의 차이 : list are Mutable
# 문자열도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인덱스를 가져와서 문자 하나씩 읽을 수 있습니다.
# string = ‘abc’
# print(string.index(‘a))
# print(string[0])
In [ ]:
try:
string = 'God is love'
# print(string[0])
string[0] = 'J'
except TypeError:
print(f'TypeError')
TypeError
In [ ]:
list_1 = ['God','is','love']
list_1[0] = 'Jesus'
print(list_1)
['Jesus', 'is', 'love']
In [ ]:
# 빈 리스트 생성
list_1 = []
print(list_1,type(list_1))
[] <class 'list'>
In [ ]:
# 요소가 있는 리스트 생성
list_1 = [1,2,3,4]
print(list_1,type(list_1))
[1, 2, 3, 4] <class 'list'>
In [ ]:
# list변환함수를 사용하여 튜플을 리스트 변환하기
list_1 = list((1, 2, 3, 4))
print(list_1, type(list_1))
[1, 2, 3, 4] <class 'list'>
In [ ]:
# 리스트는 Indexing / Slicing을 사용 할 수 있다.
list_1 = [1, 2, 3, 4, 5, 6, 7, 8, 9, 0]
print(list_1[0], list_1[-1]) #1 0
print(list_1[:3], list_1[-3:])#[1, 2, 3] [8, 9, 0]
print(list_1[1:3], list_1[-3:-2])#[2, 3] [8]
1 0
[1, 2, 3] [8, 9, 0]
[2, 3] [8]
In [ ]:
# 리스트도 Unpacking을 사용 할 수 있다.(단, Packing은 안됨)
list_1 = [1, 2, 3]
list_1_1, list_1_2, list_1_3 = list_1 # Unpacking
print(list_1_1, list_1_2, list_1_3) #1 2 3
1 2 3
In [ ]:
# N차 리스트에 대한 접근 방식.
list_1 = [[1, 2, 3], [4, 5, 6], [7, 8, 9]]
print(list_1[0])
print(list_1[1])
print(list_1[2])
print(list_1[0][2], list_1[1][1], list_1[2][0]) #3 5 7
[1, 2, 3]
[4, 5, 6]
[7, 8, 9]
3 5 7
In [ ]:
# Indexing / Slicing을 통한 요소 수정
list_1 = [1, 2, 3]
print(list_1)
list_1[0] = 'a'
print(list_1)
list_1 = [1, 2, 3]
print(list_1)
list_1[0:2] = 'a', 'b'
print(list_1)
[1, 2, 3]
['a', 2, 3]
[1, 2, 3]
['a', 'b', 3]
In [ ]:
# 리스트 자료형에 요소 추가.
list_1 = []
list_1 = list_1 + [1, 2, 3]
print(list_1) #[1, 2, 3]
list_1[3:] = [4, 5, 6, 7]
print(list_1) #[1, 2, 3, 4, 5, 6, 7]
[1, 2, 3]
[1, 2, 3, 4, 5, 6, 7]
# 리스트 함수
# 1.append(value) : 리스트의 마지막 요소에 value를 추가 한다.
list_1 = []
list_1.append(1)
list_1.append('a')
list_1.append(['b'])
print(list_1)#[1, 'a', ['b']]
In [ ]:
# 2. extend(iterable) : 리스트의 마지막 요소에 iterable의 요소들을 추가 한다.
list_1 = []
list_1.extend('abcd')
list_1.extend([1, 2, 3])
print(list_1) #['a', 'b', 'c', 'd', 1, 2, 3]
In [ ]:
# 3. insert(index, value) : 리스트의 index 위치에 value를 추가 한다.
list_1 = [1, 2, 3]
list_1.insert(1, 'a')
list_1.insert(2, 'b')
list_1.insert(4, ['c', 'd'])
print(list_1) #[1, 'a', 'b', 2, ['c', 'd'], 3]
In [ ]:
# 4. pop([index]) : 리스트의 마지막 요소 값을 반환 후 삭제
# index 값이 주어지는 경우 index 위치의 값을 반환 후 삭제
list_1 = ['a', 'b', 'c', 'd']
a = list_1.pop()
b = list_1.pop(1)
print(list_1) #['a', 'c'] b
print(a)
print(b)
print(list_1, a, b) #['a', 'c'] b
In [ ]:
# 5. remove(value) : 리스트의 요소 중 value에 해당하는 요소 삭제
list_1 = ['a', 'b', 'c', (1, 2), 'd']
list_1.remove('b')
list_1.remove((1, 2))
print(list_1) #['a', 'c', 'd']
In [ ]:
# 6. list copy functions
list_1 = ['a','b','c',(1,2),'d']
list_2 = list_1
print(list_1 is list_2) # True 할당개념
print(list_1,list_2)
list_2 = list_1.copy()
print(list_1 is list_2) # False 복사개념
In [ ]:
# 7. list del functions
list_1 = ['a','b','c',(1,2),'d']
list_2 = list_1.copy()
print(f'Original : {list_2}')
del list_2[0]
print(f'After delete : {list_2}')
In [ ]:
# 8. clear() : 리스트의 모든 요소 삭제
list_1 = [1, 2, 3]
list_1.clear()
print(list_1) # []
In [ ]:
# 9. count(value) : 리스트의 요소 중 value에 해당하는 요소 갯수 반환
list_1 = [1, 2, 3, 1, 2, 1]
print(list_1.count(1)) # 3
In [ ]:
# 10. index(value[, start_index]) : 리스트의 요소 중 value에 해당하는 요소의 index 반환,
# start_index를 지정하면 start_index 부터 찾는다.
list_1 = [1, 2, 3, 1, 2, 1]
print(list_1.index(1)) # 0
print(list_1.index(1, 1)) # 3
In [ ]:
# 11. reverse() : 반전, 리스트 요소의 순서를 거꾸로 뒤집는다.
list_1 = ['a', 'b', 'c', 'd']
list_1.reverse()
print(list_1) # ['d', 'c', 'b', 'a']
['d', 'c', 'b', 'a']
In [ ]:
# 12. sort([reverse=True]) : 정렬, 리스트의 요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 한다.
# reverse=True를 사용하면 내림차순으로 정렬 한다.
# 정렬 할 때 문자열/정수, 문자열/실수 간의 정렬은 안된다.
list_1 = ['g', 't', 'u', 'c']
list_1.sort()
print(list_1)#['c', 'g', 't', 'u']
list_1.sort(reverse=True)
print(list_1)#['u', 't', 'g', 'c']
['c', 'g', 't', 'u']
['u', 't', 'g', 'c']
In [ ]:
# 13. len 함수 : 리스트의 원소 갯수 알아내기
# 리스트를 매개 변수로 받아서 리스트의 원소 개수를 반환
# len()는 아무 집합이나 시퀀스를 받아 원소의 개수를 반환
string = 'God is love'
print(len(string)) # 11
list_1 = ['God', 'is', 'love']
print(len(list_1)) # 3
list_1 = ['God is love']
print(len(list_1)) # 1
In [ ]:
# 14. range 함수 : 인덱스 생성하기
# range() 함수는 0 부터 ~ 매개변수-1값 까지의 숫자리스트를 반환합니다.
print(range(4))
friends = ['Joseph','Glenn','Sally']
print(len(friends))
print(range(len(friends)))
In [ ]:
# 15. for문 , len 함수와 함께 인덱스 루프로 자주 사용됩니다.
friends = ['Joseph','Glenn','Sally']
# for friend in friends :
# print('Happy new year:', friend)
for i in range(len(friends)):
friend = friends[i]
print('Happy new year:',friend)
Happy new year: Joseph
Happy new year: Glenn
Happy new year: Sally
In [ ]:
# 16. ”+” : 리스트 연결하기
# 기존에 존재하는 두 리스트를 더하여 새로운 리스트를 생성할 때 사용합니다.
# 마치 줄을 잇는 것 처럼 연결해줍니다.
list_1 = [1,2,3]
list_2 = [4,5,6]
list_3 = list_1 + list_2
print(list_3) #[1, 2, 3, 4, 5, 6]
print(list_1) #[1, 2, 3]
[1, 2, 3, 4, 5, 6]
[1, 2, 3]
In [ ]:
# 17. ”:” : 리스트 자르기
# range함수와 마찬가지로 괄호 안의 두번째 숫자 -1 까지만 포함합니다.
# : 앞과 뒤가 공백일때는 처음부터 끝까지 포함합니다.
list_1 = [9,41,12,3,74,15]
print(list_1[1:3]) #[41, 12]
print(list_1[:4]) # [9, 41, 12, 3]
print(list_1[3:]) # [3, 74, 15]
print(list_1[:]) # [9, 41, 12, 3, 74, 15]
[41, 12]
[9, 41, 12, 3]
[3, 74, 15]
[9, 41, 12, 3, 74, 15]
In [ ]:
# 18. 리스트 메서드 활용하기
list_1 = []
print(type(list_1))
print(dir(list_1))
<class 'list'>
['__add__', '__class__', '__contains__', '__delattr__', '__delitem__', '__dir__', '__doc__', '__eq__', '__format__', '__ge__', '__getattribute__', '__getitem__', '__gt__', '__hash__', '__iadd__', '__imul__', '__init__', '__init_subclass__', '__iter__', '__le__', '__len__', '__lt__', '__mul__', '__ne__', '__new__', '__reduce__', '__reduce_ex__', '__repr__', '__reversed__', '__rmul__', '__setattr__', '__setitem__', '__sizeof__', '__str__', '__subclasshook__', 'append', 'clear', 'copy', 'count', 'extend', 'index', 'insert', 'pop', 'remove', 'reverse', 'sort']
In [ ]:
# 19. in , not in : 리스트 원소 탐색
# 파이썬에서는 특정원소가 리스트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2가지 연산자를 제공합니다.
# True, False를 반환하는 논리연산자입니다.
list_1 = [1,9,21,10,16]
print(9 in list_1) #True
print(15 in list_1) # False
print(20 not in list_1) #True
True
False
True
In [ ]:
# 20. 기타 내장함수
# 리스트를 매개변수로 받는 내장함수는 여러가지 있습니다.
list_1 = [1, 2, 3, 4, 5]
print(f'The sum of numbers within list_1 is {sum(list_1)}.')
print(f'The max of numbers within list_1 is {max(list_1)}.')
print(f'The min of numbers within list_1 is {min(list_1)}.')
print(f'The average of numbers within list_1 is {sum(list_1)//len(list_1)}.')
In [ ]:
# 21. 리스트내의 숫자의 합계를 sum 함수 없이 구할때, total, cnt 변수 생성
# 리스트내의 숫자의 길이값을 iterable로 사용
list_1 = [1, 2, 3, 4, 5]
total = 0
for cnt in range(len(list_1)):
total = total + list_1[cnt]
print(f'The sum of numbers within list_1 is {total}.')
# The sum of numbers within list_1 is 15.
# The max of numbers within list_1 is 5.
# The min of numbers within list_1 is 1.
# The average of numbers within list_1 is 3.
In [ ]:
# 22. 리스트 함축식 (Comprehension)
list_1 = [x for x in range(10)]
list_2 = [x for x in range(10) if x > 5]
print(list_1)
print(list_2)
[0, 1, 2, 3, 4, 5, 6, 7, 8, 9]
[6, 7, 8, 9]
In [ ]:
# 23. 리스트 함축식
list_1 = [chr(x) for x in range(97, 123)]
print(list_1)
# list to string
list_1=''.join(list_1)
print(list_1)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bcdefghijklmnopqrstuvwxyz
In [ ]:
# 연습문제
# 코드 작성 시나리오 1
# 1. False 일때 까지 반복하는 루프문 생성(while)
# 2. 숫자 입력 받기
# 3. done 을 입력받으면 반복문 끝내기
# 4. 입력받은 숫자는 문자열이니까 float형태로 변환하기
# 5. 입력받은 숫자들의 합계를 total에 저장하기
# 6. 입력받은 숫자들의 개수를 count에 저장하기
# 7. 합계/개수 를 average에 저장하기
# 8. average 값 출력하기
#변수 초기화
total,count = 0,0
#while 무한 루프
while True:
num1 = input('Enter a number: ')
if num1 == 'done':
break
value = float(num1)
total = total + value
count = count +1
average = total/count
print('Average:', average)
In [ ]:
# 코드 작성 시나리오 2
# 1. 입력된 숫자를 보관할 리스트 생성
# 2. False일 때까지 반복하는 반복문 생성
# 3. 숫자 입력 받기
# 4.‘done’을 입력받으면 반복문 끝내기
# 5. 입력받은 문자열을 float으로 변환
# 6. 리스트에 입력값 추가
# 7. (리스트 합계) / (리스트의 원소갯수)로 평균구하기
# 8. average값 출력하기
numlist = list()
while True:
num1 = input('Enter a number:')
if num1 == 'done' : break
value = float(num1)
numlist.append(value)
average = sum(numlist)/len(numlist)
print('Average:', average)
In [ ]:
# [1, 3, 11, 15, 23, 28, 37, 52, 85, 100] 와 같은 리스트 객체가 주어졌을 때
# 짝수만 항목으로 가지는 리스트 객체를 생성하는 코드를 작성하십시오.
list_1 = [1, 3, 11, 15, 23, 28, 37, 52, 85, 100]
result = [x for x in list_1 if not x % 2]
print(result)
[28, 52, 100]
In [ ]:
# 단어를 10개를 입력받아 리스트에 담고 그 단어들을 사전순으로 정렬해
#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십시오..
cnt = 0
t_list = []
while cnt < 11:
a = input('Enter the word: ')
t_list.append(a)
cnt += 1
t_list.sort()
print(t_list)
In [ ]:
# 다음 문장을 공백이 제거된 리스트로 생성하여 출력하세요.
# sentence = 'The world that we are in, more and more to be sick.'
sentence = 'The world that we are in, more and more to be sick.'
sentence = list(sentence)
for x in sentence:
if x == chr(32):
sentence.remove(x)
sentence=''.join(sentence)
print(sentence)
In [ ]:
# Tuple(튜플) 자료형
# 1. 튜플과 리스트
# 여러 자료형을 집합 형태로 담아서 관리 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 튜플은 리스트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시퀀스 임
# 0부터 시작하는 인덱스에 항목을 저장
# 리스트와 튜플의 차이점
# 소괄호를 사용함
# 튜플은 저장된 내용을 변경할 수 없음
# 2. 튜플의 장점
# 그럼 언제 튜플을 사용하는게 좋을까? 튜플을 사용하기 좋을때는 임시로 변수를 사용할때!
# 리스트는 조금 더 복잡한 일을 할때 사용!
# 튜플을 수정 가능하지 않게 저장하기 때문에 리스트와 비교하여 메모리 사용량과 성능측면에서
# 훨씬 단순하고 효과적
# 임시변수를 선언할 때는 리스트보다는 튜플을 쓰는 것이 좋음
# 3. 튜플 선언
# 튜플은 좌변에 놓는 것으로 선언한다.
# 괄호는 생략이 가능함.
# 소괄호를 사용하여 소괄호 안에 자료(요소)를 담는다.
# 각각의 자료(요소)를 구분하기 위해 ,(쉼표)를 사용 한다.
# 리스트, 사전, 문자열 자료형에 대해 튜플 자료형으로 변경 할 수 있다.
# 튜플 자료형을 생성할 때 소괄호를 생략하면서 생성할 수 있다.(Packing)
# 튜플의 요소를 하나만 생성하는 경우 반드시 마지막에 ,(쉼표)를 사용해야 한다.
# 4. 튜플 특징
# 1. Sequence Type : 초기에 생성된 데이터의 순서를 유지하고
# 순서 번호(Index Number)에 의해 접근 가능
# 2. Iterable Type : 반복 가능 자료형으로 for 반복문에 의해 사용
# 할 수 있는 자료형
# 3. Immutation Type : 변경 불가능, 튜플 자료의 요소를 추가/수정/삭제
# 할 수 없다.
# 5. Indexing(인덱싱)
# - Index 번호를 통해서 특정 요소에 접근 하기 위한 방법
# - Index 번호는 0번 부터 시작 한다.
# - Index 번호는 음수 값으로도 사용 가능하다.(역순으로 접근)
# - [] 대괄호 안에 Index 번호를 넣어서 접근 한다.
# 6. Slicing(슬라이싱)
# - Index 번호를 통해서 특정 요소들에 접근 하기 위한 방법
# - Index 번호는 시작 번호, 끝 번호 형태로 사용해야 한다.
# - 끝 번호는 항상 -1 요소 까지 접근 한다.
# - [시작번호:끝번호] 대괄호 안에 Index 번호를 넣어서 접근 한다.
# - 시작번호는 생략 할 수 있으며, 생략하는 경우 0번으로 쓰인다.
# - 끝번호는 생략 할 수 있으며, 생략하는 경우 가장 마지막 요소
# 까지 접근 한다.
# - 음수 값으로도 접근 가능하다.
# - [시작번호:끝번호:step] step 값 만큼 건너 띄어서 접근 가능
In [ ]:
# tuple은 immutable이다.
tuple_1 = ('God','is','love')
print(f'tuple_1[0] ==> {tuple_1[0]}')
tuple_1[0] = 'Jesus' # 변경할 수 없음
print(f'tuple_1 ==> {tuple_1}')
print(f'len(tuple_1) ==> {len(tuple_1)}')
In [ ]:
# 빈 tuple 생성과 자료형 확인하기
tuple_1 = ()
print(tuple_1,type(tuple_1)) # <class 'tuple'>
In [ ]:
# 요소가 있는 tuple 생성 및 자료형 확인하기
tuple_1 = (1,2,3,4)
print(type(tuple_1)) # <class 'tuple'>
print(tuple_1) # (1, 2, 3, 4)
<class 'tuple'>
(1, 2, 3, 4)
In [ ]:
# list자료형을 tuple 자료형으로 변환하기
tuple_1 = tuple([1,2,3,4])
print(type(tuple_1)) # <class 'tuple'>
print(tuple_1) # (1, 2, 3, 4)
In [ ]:
# slicing
tuple_1 = (1, 2, 3, 4, 5, 6, 7)
print(tuple_1[0],tuple_1[-1]) # 1, 7
print(tuple_1[0:3]) # (1, 2, 3)
print(tuple_1[:3]) # (1, 2, 3)
print(tuple_1[3:]) # (4, 5, 6, 7)
print(tuple_1[3:-1]) # (4, 5, 6)
print(tuple_1[-1]) # 7
print(tuple_1[-2]) # 6
print(tuple_1[-3:]) # (5, 6, 7)
print(tuple_1[:-3]) # (1, 2, 3, 4)
In [ ]:
# tuple의 Unpacking
tuple_1 = (1, 2, 3)
tuple_1_1,tuple_1_2,tuple_1_3 = tuple_1
print(tuple_1_1,tuple_1_2,tuple_1_3) # 1 2 3
In [ ]:
# tuple의 Unpacking
tuple1,tuple2 = input('Enter three values : ').split()[0:2]
print(f'tuple1 is {tuple1} and tuple2 is {tuple2}')
In [ ]:
# 2차 tuple
tuple_1 = ((1, 2, 3), (4, 5, 6),(7, 8, 9))
print(tuple_1[0]);print(tuple_1[1]);print(tuple_1[2])
print(tuple_1[0][0]);print(tuple_1[1][1]);print(tuple_1[2][2])
In [ ]:
# tuple 함수 사용하기
# 1. tuple count(value) functions
tuple_1 = (1,2,3,1,2,1)
print(tuple_1.count(1)) # 1의 요소가 3개 있다.
In [ ]:
# 2. tuple index(start index,value) functions
tuple_1 = (1,2,3,1,2,1)
print(tuple_1.index(1)) # 0
print(tuple_1.index(1,1)) # 3
In [ ]:
# 3. tuple length functions
tuple_1 = ('c','d','a','e','b')
print(len(tuple_1)) # 5
In [ ]:
# 4. tuple concatenate
tuple_1 = (1,2,3)
tuple_2 = (4,5,6)
tuple_3 = tuple_1 + tuple_2
print(tuple_3) # (1, 2, 3, 4, 5, 6)
(1, 2, 3, 4, 5, 6)
In [ ]:
# 5. tuple methods
tuple_1 = ()
print(dir(tuple_1))
['__add__', '__class__', '__contains__', '__delattr__', '__dir__', '__doc__', '__eq__', '__format__', '__ge__', '__getattribute__', '__getitem__', '__getnewargs__', '__gt__', '__hash__', '__init__', '__init_subclass__', '__iter__', '__le__', '__len__', '__lt__', '__mul__', '__ne__', '__new__', '__reduce__', '__reduce_ex__', '__repr__', '__rmul__', '__setattr__', '__sizeof__', '__str__', '__subclasshook__', 'count', 'index']
In [ ]:
# tuple 내장 함수 이용하기
tuple_1 = (1, 2, 3, 4, 5)
print(f'The sum of numbers within tuple_1 is {sum(tuple_1)}.')
print(f'The max of numbers within tuple_1 is {max(tuple_1)}.')
print(f'The min of numbers within tuple_1 is {min(tuple_1)}.')
print(f'The average of numbers within tuple_1 is {sum(tuple_1)//len(tuple_1)}.')
In [ ]:
# 1. 튜플 함수의 count 함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코드를 작성 하시오.
# count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도 튜플 자료의 요소 수를 카운트하는 코드를 작성 하시오.
tuple_1 = (1, 2, 3, 4, 1, 2, 3, 1, 2, 1)
value = int(input('Enter the value that you want counting: '))
cnt = 0
for x in tuple_1:
if x == value:
cnt = cnt + 1
else:
print(cnt)
In [ ]:
# 2. 사용자로 부터, 찾을 문자열과 인덱스 시작 번호를 받아서, index의 위치 값을 출력하세요.
# index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도 튜플 자료의 index 번호를 알아낼수 있는 코드를 작성 하시오.
# 단, tuple_1 = ('g','o','d','i','s','l','o','v','e') 사용하세요
tuple_1 = ('godislove')
target,s_idx = input("The target char? The index number? ").split()
s_idx = int(s_idx)
for x in tuple_1[s_idx:]:
if x == target:
print(s_idx)
s_idx += 1
In [ ]:
# 3. index 함수는 오직 하나의 index 번호만을 알아낼수 있는 함수이다.
# 원하는 value가 한 리스트 내에 여러개 있을때 이를 모두 구하고 싶다. 코드하세요.
# 단, tuple_1 = (1, 3, 4, 3, 6, 7,1, 3, 4, 3, 6, 7) 사용하세요.
tuple_1 = (1, 3, 4, 3, 6, 7, 1, 3, 4, 3, 6, 7)
num = int(input('Enter the value that you want index poison: '))
idx_posion = [i for i, value in enumerate(tuple_1) if value == num]
print(f'New indices list : {idx_posion}')
# New indices list : [1, 3, 7, 9]
Enter the value that you want index poison: 1
New indices list : [0, 6]
In [ ]:
# item tuple를 이용하여 다음 아래와 같은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코드를 완성하세요.
# SXXS Menu
# ==============================
# Menu tall grande venti
# ==============================
# Coldblue 5000 5500 6000
# Americano 4100 4600 5100
# Cafelatte 4600 5100 5600
item = (
('Menu', 'tall', 'grande', 'venti'),
('Coldblue', 5000, 5500, 6000),
('Americano', 4100, 4600, 5100),
('Cafelatte', 4600, 5100, 5600),
)
store_name = 'SXXS Menu'
print(store_name.center(30))
print('=' * 30)
for idx in range((len(item))):
if idx == 1:
print('=' * 30)
print('{:<10}{:<7}{:<7}{:<7}'.format(*item[idx]))
SXXS Menu
==============================
Menu tall grande venti
==============================
Coldblue 5000 5500 6000
Americano 4100 4600 5100
Cafelatte 4600 5100 5600
728x90
'클라우드 > Python - 엔지니어 필수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76 - Python3 : python 기초3 (0) | 2022.09.08 |
---|---|
No.74 - Python1 : python 기초1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