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네트워크

No.1 - 네트워크 : 용어정리1

kyudon 2022. 5. 18. 14:19

가상화

컴퓨터에서 컴퓨터 리소스의 추상화를 일컫는 광범위한 용어이다. "물리적인 컴퓨터 리소스의 특징을 다른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최종 사용자들이 리소스와 상호 작용하는 방식으로부터 감추는 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특성
- 연결성
- 규칙성
- 통신성



LAN(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영역 네트워크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컴퓨터의 네트워크를 말하며, 유선 케이블, 적외선 링크, 무선 송수신기 등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더 쉽게 설명을 하면 관리자가 직접 관리가 가능한 영역을 LAN 영역이라 한다. 보통 가정이나 학교에서 볼 수 있는 형태이다


WAN(Wide Area Network) : 광대역 네트워크

두 개 이상의 LAN 영역을 연결한 영역. LAN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멀리 떨어진 컴퓨터 사이에서도 WAN을 통하여 서로 통신이 가능하다.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여기서 등장하는 M은 도시를 의미하는 Metropolitan의 약자이다. 여기서 범위는 LAN보다 넓고 50km 거리 내에서 이용할 수 있다. 큰 학교나 건물, 쇼핑센터같은 곳을 예로 들 수 있다.


PAN(Personal Area Network) : 개인 영역 네트워크

Personal에서 알 수 있듯 블루투스나 UWB 등의 기술을 이용해서 개인 휴대기기 사이에서 구성된 무선 연결망을 의미한다. 그 외에도 MAN과 인트라넷의 개념이 있다.


VAN

VAN은 고대역폭의 접속을 통하여 사용자들이 커뮤니티에 대해 좀 더 가시적인 느낌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네트워크

 

인트라넷(Intranet)

인터넷에 사용하는 회선 및 기술을 이용하여 구축한 사설 네트워크. 흔히 군대에서 이용하는 외부 사이트에 접속 제한이 걸려있는 인터넷을 인트라넷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ISP까지 연결이 되면 적은 비용으로 사설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모뎀

정보 전달(주로 디지털 정보)을 위해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원래의 신호로 복구하기 위해 복조하는 장치를 말한다.


제공자(서버) <-> 요청자(클라이언트)


ISP

개인이나 기업체에게 인터넷 접속 서비스, 웹사이트 구축 및 웹호스팅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회사를 말한다.

 

사용자 명령어를 컴퓨터에게 전달해 처리 담당

셸은 운영 체제 상에서 다양한 운영 체제 기능과 서비스를 구현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인터페이스 (Interface)

서로다른 두 사물사이에 연결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주는 것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규약이다.

1) www.naver.com 

2) kyudon.tistory.com

- www, kyudon : 호스트

- naver.com, tistory.com : 도메인

 

- FQDN (Fully Qualified Domain Name)

호스트와 도메인을 함께 명시하여 전체 경로를 모두 표기하는 것 

- PQDN (Partially Qualified Domain Name)

FQDN와 달리 전체 경로명이 아닌 하위 일부 경로만으로 식별 가능하게 하는 것

- DNS (Domain Name System)

FQDN을 IPaddress로 바꿔주는 것


- 라우터

라우터는 컴퓨터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다.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며, 이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달한다.

 

- 스위치

네트워킹 장치이기도하며 여러 장치를 연결합니다. 스위치는 여러 장치를 연결하여 근거리 통신망을 만듭니다. 

728x90